한국인 선장 아프리카 해적 피랍
안녕하세요,
우리 시간으로 어제(20일) 한국인 선장이 조업 중인 참치잡이 배가 새벽 서아프리카 가나 앞바다에서 해적에 피랍된 사실 이해상 안전 위험 관리회사인 드라이어드 글로벌에 의해서 확인됐습니다.
드라이어드 글로벌에 따르면 가나 선적 참치잡이 어선 애틀랜틱 프린세스호가 지난 19일 오후 6시 30분(UTC·세계표준시) 경 가나 수도 아크라 동쪽의 연안 도시 테마 앞바다에서 납치되었다고 전달했습니다.
피랍된 기니만 앞바다는 원래 해적 출몰로 악명 높은 곳인데, 정부가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전달했습니다.
참치잡이 어선 '애틀랜틱 프린세스호'가 피랍된 것은 우리 시간으로 어제 새벽 3시 반쯤 배에는 한국인 선장과 러시아인 1명, 중국인 3명 등 모두 5명이 있었습니다. 이번 사고 선박은 가나 선적이지만, 지분의 절반을 중국인이 소유하고 있으며 한국인 선장은 이 회사에 고용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가나 해적 애틀랜틱 프린세스호 한국인 납치
어선이 처음에 납치된 지점은 가나 어업 전진기지 '테마'에서 120km 떨어진 곳으로, 해적들은 고속정을 타고 접근해 총을 쏜 뒤, 배를 옮겨 타 선원들을 데리고 사라졌습니다. 드라이어드 글로벌은 "8명의 해적이 탄 고속정이 접근해 총을 쏜 후 5명의 무장 괴한이 어선에 올라탄 것으로 알려졌다"라면서 "이후 배가 남쪽으로 더 이동한 후 해적들이 선원 5명을 납치해 어선에서 떠난 것으로 이해된다"라고 전했습니다. 어선이 처음에 납치된 지점은 가나 어업 전진기지 테마에서 남쪽으로 65 해상 마일(약 120㎞) 떨어진 곳이고 배를 장악한 해적들은 남쪽으로 약 100 해상 마일까지 더 항해한 후 배에서 선원들과 함께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피랍 선박은 해적 출몰 지역으로 악명 높아 우리 당국이 '해적 고위험 해역'으로 지정해 조업 중단을 권고한 곳에서 작업 중이었던 것은 아니다. 소식통은 "해적들이 범행에 갈수록 대담해져 연안까지 출몰하지만 가나만 해도 해군 군함이 모두 10여 척 밖에 안되고 그나마 제대로 가동되는 것은 네다섯 척에 불과하다"면서 단속 장비가 매우 열악하다고 말했다.
한국, 러시아 외교부 반응
우리 외교부는 해적의 요구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중국 선사와 접촉하는 한편, 가나 정부와도 소통 중이라며 석방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해적의 요구사항과 관련, 해당 선사가 접촉하고 대사관은 추후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선사와 접촉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국제규범상 정부가 해적이나 테러리스트에게 인질의 몸값을 주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이와 관련, 러시아 현지 대사관도 해적들이 러시아 국민을 가나 앞바다에서 납치했다고 확인했다고 러시아 스푸트니크 통신이 현지 대사를 인용해 속보로 전했습니다. 러시아 대사관은 외교관들이 가나 외교부와 접촉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드미트리 수슬로프 러시아 대사는 나중에 "파이어니어 푸드 컴퍼니라는 가나 어업회사와 접촉을 해나가고 있다"라면서 사고 어선의 선장이 한국인이므로 가나 주재 한국 대사(임정택)와도 만날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아프리카 해상 피랍 사건들
이번 피랍 사건은 가장 최근 납치 사건으로부터 9개월 만에 발생했으며 납치 주체도 일단 나이지리아 해적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선박이 납치된 서아프리카 기니만 앞바다는 지난해에만 130명의 선원이 해적에 납치됐을 정도로 악명 높은 곳입니다. 가나 등이 위치한 서아프리카 기니만 앞바다에선 지난해 나이지리아 해적에 의한 한국인 선원 납치사건이 총 3건(5월 초, 6월 말, 8월 말) 발생했었습니다. 모두 참치잡이 어선이었고 선적의 경우 2척은 가나, 한 척은 가봉이었습니다. 피랍 한국인들은 나중에 모두 풀려났지만, 길게는 50일 만에 석방되기도 하였습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한 전 세계 해적의 선원 납치사건 중 서아프리카 해역에서 발생한 사건이 전체(135명)의 96.3%(130명)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댓글